나로살기 학교에서 '나로살기 학교 철학만들기'와 교육학 공부를 위해
2022년 4월 15일 ~ 8월 5일 까지 14명의 구성원이 열정적으로 임하였습니다.
나로살기학교 개교를 위해 나로살기학교만의 철학을 만들기위한 한 발걸음이였습니다.
이번 교육과정은 기존 나로살기 교사들 뿐만 아니라 나로살기 학교에 관심이 있는
20대들, 학부모님들도 함께하여 서로의 교육관을 토론하고 교육철학을 만들 수 있어서 더 뜻 깊은 시간이였습니다.
<나로살기학교 교육학 개론 과정>
* 목표:
교육학개론에 대해 학습 연구한다.
나로살기학교 교육관 및 교육철학을 연구 정립한다.
나로살기학교 교사 교육능력을 향상한다.
기획, 준비, 실행, 평가과정을 통해 나로살기 계절학교를 운영한다.
나로살기 학교 개교를 준비한다.
*교재:: 김철, 정기섭, 정장호 공저, “교육학 개론”, 학지사, 2020.
횟수 | 이론과정 |
1 | 1장 인간이해 |
2 | 2장 인간이해와 교육적 관계 |
3 | 3장 교육의 개념과 의미 |
4 | 4장 교사 |
5 | 5장 학생 |
6 | 6장 학교 |
7 | 7장 교육학의 학문적 구조 |
8 | 8장 교육사와 교육철학 |
9 | 한국교육사 |
서양교육사 |
10 | 9장 교육과 심리학 |
11 | 10장 교육과 사회 |
12 | 11장 교육과정 |
13 | 12장 사회교육 |
13장 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 |
나로살기 학교에서 '나로살기 학교 철학만들기'와 교육학 공부를 위해
2022년 4월 15일 ~ 8월 5일 까지 14명의 구성원이 열정적으로 임하였습니다.
나로살기학교 개교를 위해 나로살기학교만의 철학을 만들기위한 한 발걸음이였습니다.
이번 교육과정은 기존 나로살기 교사들 뿐만 아니라 나로살기 학교에 관심이 있는
20대들, 학부모님들도 함께하여 서로의 교육관을 토론하고 교육철학을 만들 수 있어서 더 뜻 깊은 시간이였습니다.
<나로살기학교 교육학 개론 과정>
* 목표:
교육학개론에 대해 학습 연구한다.
나로살기학교 교육관 및 교육철학을 연구 정립한다.
나로살기학교 교사 교육능력을 향상한다.
기획, 준비, 실행, 평가과정을 통해 나로살기 계절학교를 운영한다.
나로살기 학교 개교를 준비한다.
*교재:: 김철, 정기섭, 정장호 공저, “교육학 개론”, 학지사, 2020.